티스토리 뷰
중국 투자환경을 오늘 포스팅에서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중국 투자환경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중국은 투자처로 아직도 매력적인지 아니면 중국이외의 투자환경을 고려해 봐야 하는지 코트라 국가정보를 기초로 정리해서 알려드립니다. 중국관련 중국의 기본 정보, 중국 인구, 중국 면적등이 궁금하면 중국 인구 및 중국 면적 총정리. 포스팅을 참고하시고 중국 역사가 궁금하시면 기존에 정리한 중국역사 총정리. 포스팅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국 투자환경
중국은 세계 제2의 경제대국입니다. 중국의 GDP 규모는 2010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에 오른 이후 세계 제2의 경제대국으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세계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수출국이기도 합니다. 중국은 2012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교역국으로 부상했으며 2013년, 2014년 중국의 교역총액은 4조 달러를 넘어서기도 하였습니다. 2015년 다시 4조 달러 이하로 떨어졌으나 2017년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연속 6년간 세계 최대 교역국의 자리를 지키고 있기도 합니다. 중국이 최대 교역국으로 부상한 이유는 수출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2012년부터 중국의 수출액은 2조 달러를 넘어서고 있으며 이에 반해 미국은 1조 5천억~1조 6천억 달러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세계 2대 수입국이기도 합니다. 최대 수입국인 미국의 수입규모가 2조 달러가 넘고 있으며 중국은 2014년 1조 9,631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2017년 중국의 수입규모는 1조 7,900억 달러 였습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
중국은 대외개방 정책 이후 무역흑자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외환보유고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11년에는 외환보유고는가 사상 최초로 3조 달러를 돌파하기도 하였습니다. 2014년 2분기 6월 3조 9,090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연이은 하락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3조 달러의 마지노선을 지키고 있습니다. 2017년 말 중국의 국가 외환보유고 규모는 3조 1,399억 달러 나타났습니다.
중국 투자환경 총정리.
중국은 투자처로 매력이 있을까요?
중국의 세계 2대 유망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괄목할 만한 성장은 성공적인 외자유치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정도로 많은 국가에서 투자를 하였습니다. 중국 정부는 광활한 국토와 막대한 인력을 자산으로 외국인 직접투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습니다. 중국 중앙정부 차원에서 외자 개방도 확대하고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책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각 지방마다 공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외자유치에 공을 들여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중국 FDI는 1990년의 35억 달러에서 2017년 1,310억 달러로, 27년 사이 36배 확대되기도 하였습니다. 최근까지도 중국은 여전히 세계 유망 투자처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2017년 6월 배포한 사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다국적 기업 임원의 36%가 2017~2019년 최고 유망 투자처로 중국을 꼽기도 하였습니다. 중국을 유망 투자처로 꼽은 응답자 비율이 작년 21%에 비해 1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차이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중국이 최대투자처로 2위를 차지하였지만 미국은 투자처로 1위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중국의 투자 매력도는 미국을 최고 투자처로 꼽은 비율 40%를 밑도는 수준입니다. 임금과 토지가격 상승, 강력한 규제정책, 현지 기업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매력을 급속도로 잃어가고 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중국 미국상회(AmCharm China)가 2017년 미국기업 상대로 진행한 조사에서 81%의 응답기업이 중국은 “예전처럼 환영받지 못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는 특히 “불투명한 정책과 법 집행의 불일치”, “인건비 상승”, “중국 내 보호주의”가 3대 차이나 리스크로 꼽히기도 하였습니다 “불투명한 정책과 법 집행의 불일치”, “인건비 상승”은 2016년에도 1, 2위에 오를 정도로 해외 투자자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특히 중국이 2016년 말부터 자금 유출 방지차원에서 자본 통제의 고삐를 더 죄고 있어서 중국 내 외국기업들은 이익금 본국 송금이 어려워졌습니다. 중국 내 외국 기업들은 불공정한 규제와 복잡한 창업 절차, 투자 환경 악화 등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중국 투자환경 총정리.
이상으로 중국 투자환경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